@달리님이 지적하신 복잡도에대해 생각할 지점이 많을 것 같아요. 어쩌면 여기부터 시작하면 대안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복잡함은 주인되는데 방해요소이다에 동의허시나요?

"복잡함은 주인되는데 방해요소이다."
찬반 투표하면 현재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조안나
반대
복잡함이 어떤 복잡함을 말씀하는지 자세히 몰라서ㅠㅠ
달리님의 지적하신 복잡함을 알고 싶어요ㅠㅠ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달리
찬성
@조안나 저도 생각을 좀 정리해야하지만요. 같이 다듬어 간다는 마음으로 적어 보겠습니다. 흠흠. 정책을 세우려면 관련된 여러 사실들을 고려하고 살펴보고 따져보아야 하는데요. 세상은 점점 복잡해져만 가니까 많은 경우에 전문가라든가 학자분들, 정치인들에게 해결책을 맡기게 됩니다. 시민은 관심이 웬만큼 있거나 내 문제가 아닌한 접근하기 어렵죠. 사드 문제만 해도 동북아 정세라든가, 전자파에 대한 과학적 지식 등등을 알아야하고, 신고리 5/6호기도 원전에 대한 수많은 지식이나 산업/경제 상황 등을 어느 정도 파악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어요. 세월호 경우에도 수 백장이 넘는 자료를 깊이 공부해야 뭔가 그 참사의 맥락이 읽힐 것만 같고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그래요
기술관료제라는 표현을 하더군요. 기술 관료들의 전문성에 기반 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이런 의사결정 방식에는 전문가들이 받은 교육에 기반해서 결정 권한을 독점적으로 행사하게 되어 시민참여를 불가능하게 한다고해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kwon
찬성
저는 말씀해주신 내용 듣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생각이 났어요. 현재 기술들이 예측 불가능한 성격이 강해서 그런지, 누구나 사용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들과 툴들이 공개가 많이 되어 있는데요. 전문가 분들이 공개를 해줌에도 불구하고 비전문가가 접근하는데는 장벽이 상당히 높더라고요. 우리는 기술 환경 안에서 살고 있고, 나에게 당장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필요한 것에 대해 요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게 되려면 알아야하고, 그런데 아는건 쉽지 않고, 그러다보면 그냥 있는대로(주는대로) 쓰게 되는 결론에 상당히 고민이 됩니다. 문제를 발견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으려면 어느 수준의 이해도가 필요한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네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july
찬성
저는 세금을 먹고 사는 행정/정치가들이 그 복잡성을 낮추는 일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복잡성이 있지만, 결국 그 제도나 법안의 주인(?)이자 실제로 영향을 받고 삶을 사는 사람들은 결국 시민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누구든지 제도나 정책을 만드는데 참여하도록 하고, 거기에 필요한 전문성, 그러니까 법안으로 만든다거나 감수를 하는 일은 행정에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디어도 행정이 내고, 처리도 행정이 하니까 그들의 삶에 기반한 제도가 나온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그래요
찬성
디지털 리터러시는 다양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평가하고, 만들어내는 능력이다.
http://homemag.kr/what-is-digital-literacy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july
찬성
http://www.huffingtonpost.kr/wagl/story_b_13062800.html?utm_id=naver 에스토니아 민회의 사례에서도, 시민들이 보낸 2천개의 제안을 전문가(저는 정치/행정 전문가라고 읽는데요)들이 18개의 안건으로 추려서 추첨으로 뽑힌 550명의 시민이 대표가 되어 숙의하고 결정하는 단계를 거쳤어요. 이걸 그대로 가져오기 보다는 가능성의 사례로 보고 우리에 맞는 제도를 만들면 좋겠다는 마음이 드네요 :) 토론 열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재밌어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곽낑깡
반대
저는 요즘 커뮤니티 구성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는데요, 어느 정도의 복잡함은 커뮤니티 활동의 동기를 촉진시키고 주인의식을 갖게 하지 않을까라는 가설이 생겨서 반대에 투표했어요 :)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그래요
찬성
오~ @곽낑깡 님 관점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하다보니 복잡함에대한 정의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달리
찬성
@곽낑깡 오홍 그렇겠네요. 어느 정도 복잡함인지도 중요하겠군요.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하진
반대
저는 사안자체의 복잡함을 문제 삼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 복잡함을 이해하도록 설명하고 좀 더 쉽게 알 거나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집단이 어떤 이해관계에 의해 그 책임의 노력을 방기하거나 의도적으로 왜곡하는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아그래요
찬성
@하진 저는 복잡함을 이해하기 위해 설명하는 일, 더 쉽게 알게 하기 위해 이해관계가 한눈에 보일 수 있게하는 것들이 복잡함을 낮추는 행위 라고 생각했습니다.
사진·파일

TIP 최대 크기 25M 파일을 20개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는 드래그해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